티스토리 뷰
1.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연속지적도(SHP) 다운
2. 좌표계 지정(원좌표) 및 좌표계 변환
3. SHP파일 읍면동 구분
4. 속성편집(지번 띄우기)
5. DXF 내보내기
1.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연속지적도(SHP) 다운
- SHP파일 다운/ 추가정보 확인(좌표, 속성 등)
국가공간정보포털 내에서 shp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오픈마켓 내 연속지적도를 검색하여 다운받은 후 하단 추가정보를 통해 좌표, 데이터유형 등을 확인합니다.
제가 다운받은 파일은 GRS80 TM 중부 ITRF2000 좌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좌표계 지정(원좌표) 및 좌표계 변환
다운받은 shp파일을 불러온 뒤 속성-원본-지정된 좌표계(CRS)에 '지정된 좌표계가 유효하지 않은 투영체'이면 원좌표를 지정해 줍니다.(shp파일 다운받을 때 추가정보에 있었던 좌표계로 지정해 주면 됩니다)
만약 작업해야 할 좌표가 다를 경우 좌표계변환을 해줍니다. 제가 변환할 좌표계는 베셀동부입니다.(grs80 중부→베셀동부)
export-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클릭한뒤 ①파일 경로 선택 ②좌표계 찾기 ③변환할 좌표계 확인 후 저장해 줍니다.
좌표계가 잘 변환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면 ①프로젝트 속성 ②좌표계 없음(또는 알 수 없는 좌표계)를 체크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표계 없음(또는 알 수 없는 좌표계)을 체크함으로써 각 shp파일의 고유좌표가 보여집니다.
3. shp파일 읍면동 구분
- 코드조회, 필드계산기(읍면동코드 생성), 표현식선택
다운받는 shp파일은 구나 군 기준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체를 다 써도 되나 필요한 동이나 읍면이 따로 있다면 필드계산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습니다.
추출하기 전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에서 코드를 조회합니다.
코드를 조회한 후 PNU코드에서 읍면동코드(10자리)를 생성해야 합니다.
속성테이블에서 ①필드계산기 열기 ②새로운 필드생성을 체크한 뒤 이름/유형/길이를 지정해 줍니다.
③표현식에서 left("pnu",10)를 입력해 줍니다.
(표현식 left("pnu",10)은 pnu코드에서 왼쪽부터 10자리까지만 표현하겠다는 뜻입니다.)
생성된 읍면동 필드를 확인 후 조회한 코드를 이용하여 추출합니다.
①표현식을 이용하여 객체 선택 ② 읍면동 선택 ③ 모든 유일값 선택 or 코드 검색 ④표현식 확인을 통해 해당동만 선택이 가능하며 다른 이름으로 저장해 줍니다.
4. 속성편집(지번 띄우기)
- 선, 크기조정, 자유롭게 배치
Qgis는 화면상에 보이는 부분을 모두 내보내주기 때문에 약간의 편집이 필요합니다.
속성-심볼에서 ①단일심볼 ②단순라인 ③획너비(가는 선)를 선택하여 선만 남겨줍니다.
다시 속성에서 ①라벨 ②단일라벨 ③jibun 선택 ④텍스트 크기 편집 ⑤표현식(log(2.5,$area))을 검색하여 입력해 줍니다.
(표현식 log(2.5,$area)는 각각의 지적 크기에 맞게 글자가 들어가도록 설정한 것입니다.)
텍스트 크기를 설정한 후 ①배치모드-자유롭게(각을 이룸) 선택 후 편집한 객체를 확인합니다.
결과물을 확인합니다.
5. DXF 내보내기
마지막 순서입니다. 프로젝트 - 가져오기/내보내기 - 프로젝트를 dxf로 내보내기를 선택한 후 내보내기 창에서 스케일은 1:1000 인코딩은 ms949로 설정해 dxf파일로 내보내면 성공입니다.
내보낸 dxf파일은 dwg로 저장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행복하세요💜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QGIS] 나도 할 수 있다! 경사표고 분석(경사분석편) (2) | 2023.12.26 |
---|---|
[QGIS] 나도 할 수 있다! 경사표고 분석(표고분석편) (0)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