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보간산출물(tin) 경사화 2. 마스크레이어(해당 구역 추출) 3. 면적산출 및 최고, 최소, 평균값 확인 4. 이미지 저장 1. 보간산출물(tin) 경사화 - 래스터 경사분석 앞서 표고분석 때 산출한 tin(보간산출물)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래스터 - 분석에서 ①경사 선택 ② 해당레이어 선택 ③파일로 저장합니다. 2. 마스크레이어(해당 구역 추출) - 마스크 레이어로 래스터 자르기 생성된 래스터경사의 ①최저, 최고값을 확인합니다. 결과값을 보아 대상지 일대는 0~62.3 사이의 경사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다음은 표고분석과 과정이 동일합니다. 래스터경사와 구역계로 해당 구역만 추출해줍니다. 래스터 - 추출에서 ②마스크 레이어로 래스터 자르기를 선택한 후 창이 뜨면 입력레이어:래스터..

1. 수치지형도 다운 및 구역계, 지형. dxf 불러오기 2. 구역계 폴리곤화 3. 지형 tin 생성 4. 마스크레이어(해당 구역 추출) 5. 면적산출 및 최고,최소,평균값 확인 6. 이미지 저장 1. 수치지형도 다운 및 구역계,지형 dxf 불러오기 - 국토정보플랫폼 다운, dxf(지형레이어 7111,7114) 경사표고를 분석하기 위해 해당 구역이 포함된 수치지형도가 필요합니다.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수치지도 받기를 선택해 해당지역의 수치지형을 5000도로 다운받습니다. (1000도 수치지형은 간곡선이 없는 경우가 있어 5000도를 사용함.) 다운받은 수치지형도 파일에서 지형에 해당하는 7111(주곡선),7114(간곡선) 레이어만 따로 dxf로 저장합니다. dxf 형태로 저장한 지형파일을 qgis에 불러옵니..

1.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연속지적도(SHP) 다운 2. 좌표계 지정(원좌표) 및 좌표계 변환 3. SHP파일 읍면동 구분 4. 속성편집(지번 띄우기) 5. DXF 내보내기 1.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 연속지적도(SHP) 다운 - SHP파일 다운/ 추가정보 확인(좌표, 속성 등) 국가공간정보포털 내에서 shp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오픈마켓 내 연속지적도를 검색하여 다운받은 후 하단 추가정보를 통해 좌표, 데이터유형 등을 확인합니다. 제가 다운받은 파일은 GRS80 TM 중부 ITRF2000 좌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좌표계 지정(원좌표) 및 좌표계 변환 다운받은 shp파일을 불러온 뒤 속성-원본-지정된 좌표계(CRS)에 '지정된 좌표계가 유효하지 않은 투영체'이면 원좌표를 지정해 줍니다.(shp파일 다운받..